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주택임대차보호법에 관하여1 오늘부터는 주거용 부동산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주택임대차보호법에 대하여 이야기 해보겠습니다.많은 분들이 주택임대차보호법을 잘 알지 못해서 손해를 보거나 피해를 보는경우를 정말 많이 보았습니다.그래서 예를들어서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조금은 어려울수도 있지만 천천히 읽어보시면 정말 많은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합니다.그럼 시작해 보겠습니다. 주택임대차보호법이란 주택소유자(임대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사회적 약자의 지위에 있는 주택임차인을 보호하여 국민 주거생활이 안정을 도모한다는 사회정책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981년 3월5일 제정된 특별법으로서 주택임대차에 관하여 민법에 대한 여러가지 특혜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럼 주택임대차보호법의 주택임차인 보호를 위한 여러 규정 중 가장 중요한 내용은 .. 더보기
부동산 관련 세금의 종류 오늘은 부동산 관련 세금의 종류에 대하여 간단한게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부동산 세금을 이야기 하기 전에 누가 세금을 내야 할까요?정답은 파는 사람 사는 사람입니다.좀더 유식한 말로 매도인 매수인 양쪽다 입니다. 그럼 먼저 부동산을 판 사람 즉 매도인이 내야 하는 세금부터 알아보겠습니다.세금의 종류는 국세와 지방세로 나누어 집니다.쉽게 이야기하면 국가, 즉 중앙정부가 부과하는 조세를 국세, 지방자치단체가 징수하는 조세를 지방세라 할수있겠지요. 매도인이 내야하는 국세로는 1.양도소득세, 농어촌특별세(양도소득세 감면시만 해당) 2.부가가치세(부가기치세 과세 사업용 건물의 양도시 해당) 3.소득세(사업자만 해당) 그리고 매도인이 내야하는 지방세로는 1.지방소득세 2.지방소비세가 있습니다. 그럼 이번에는 부동산을.. 더보기
부동산 세무상식에 대하여... 세금이란 무엇인가에 대하여 곰곰히 생각해 본적이 있으신지요? 부동산에 관련된 일을 하다보니 매수인도 매도인도 가정 걱정하는것중에 하나가 세금같습니다. 조금만 내면 즐겁고, 안내면 더 즐거운 세금~~~ 절약하고 싶으시다면 천천히 저와 같이 공부해 보겠습니다. 처음 하시는 분들을 위해서 너무 어렵지 않은 것부터 시작하려 합니다. 저 역시 세무사가 아닌관계로 깊이 많이는 알지 못하나 제가 알고 있는 범위내에서 최대한 자세하게 설명해드리려고 하니 여러분들도 천천히 읽어보시고 맘에 드시면 공감과 댓글 많이 부탁드립니다. 부동산에 관련된 세금은 그 종류가 다양하고, 세금의 종류에 따라 평가 방법이 상이하며, 비과세, 감면, 중과세 등 예외규정이 많고 관련법령이 부동산 경기에 따라 수시로 신설 및 개정되므로 부동산을.. 더보기